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일까?

by 머니생활IN 2025. 7. 25.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일까?*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일까?

생분해 플라스틱, 듣기엔 착하지만… 진짜 그럴까?

요즘 마트나 카페에서 “이건 생분해 플라스틱이에요”라는 문구, 한 번쯤 보셨을 거예요. 뭔가 ‘자연에서 알아서 분해되니까 괜찮다’는 느낌이 들죠. 실제로 일반 플라스틱은 분해되려면 수백 년이 걸리는데, 생분해 플라스틱은 수개월 혹은 몇 년 안에 분해된다고 하니 꽤 환경 친화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죠.

그런데, 여기서 잠깐 생각해볼 부분이 있어요. 과연 모든 생분해 플라스틱이 우리가 생각하는 그 ‘자연 속 분해’를 실제로 할 수 있는 걸까요? 환경을 위한다는 이름 아래 무조건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게 과연 맞는 걸까요? 생각보다 복잡한 이 이야기를 조금만 더 현실적으로 들여다보면,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이 꽤 많습니다.

예를 들어 PLA(폴리락트산) 같은 생분해 플라스틱은 옥수수 전분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져서 자연 친화적으로 보이긴 합니다. 문제는 이게 자연에 그냥 버려졌을 때 바로 분해되느냐는 거예요. 실제로는 산업용 퇴비화 시설에서 고온, 고습 조건에서만 제대로 분해가 되지, 길거리에 버려진 PLA컵이 알아서 흙으로 돌아가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심지어 일반 쓰레기나 재활용 쓰레기와 섞이면 처리 과정에서 또 다른 문제를 만들기도 해요.

그러니 단순히 ‘생분해’라는 단어만 보고 안심하긴 어려운 시대가 되어버린 거죠.


일반 플라스틱보다 나은 걸까? 오히려 더 복잡한 생분해의 진실

많은 분들이 생분해 플라스틱이면 무조건 환경에 좋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론 상황에 따라 오히려 부담이 될 수도 있어요. 우선, 대부분의 생분해 플라스틱은 특정 조건에서만 분해가 가능해요. 예를 들어 온도가 섭씨 60도 이상, 습도도 높고, 미생물 환경까지 조성된 퇴비화 시설이 필요하죠. 이 조건이 아니면 1년이 지나도 멀쩡한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일반 재활용 공정에서 생분해 플라스틱이 섞이게 되면, 전체 재활용품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어요. 재활용 PET나 PP류는 생분해 플라스틱과 섞이면 오염물로 간주돼서 폐기될 수도 있고요. 결국 친환경이라는 명분 아래 쓰인 생분해 제품이 폐기물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는 셈이에요.

또 하나 중요한 건 원료 문제예요. 생분해 플라스틱은 대부분 옥수수, 사탕수수, 감자 같은 농작물에서 추출한 전분으로 만드는데, 이건 결국 식량을 에너지나 플라스틱으로 돌린다는 얘기거든요. 한쪽에서는 식량난 얘기가 나오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컵과 포장재를 만들기 위해 식량 자원을 쓴다면 과연 그게 진짜 ‘지속 가능한’ 방향인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나 탄소 배출량도 무시 못 해요. 어떤 제품은 전통 플라스틱보다 오히려 더 많은 에너지를 쓰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까요. 겉보기엔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주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문제가 아니에요.


생분해보다 더 중요한 건 ‘덜 쓰기’와 ‘제대로 처리하기’

결국 우리가 정말 고민해야 할 건 ‘생분해냐 아니냐’가 아니라, 어떻게 쓰고, 얼마나 줄이고, 어떻게 버릴 것인가입니다.

물론 생분해 플라스틱도 잘만 활용하면 일부 상황에선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봉투처럼 일반 플라스틱으로 만들기엔 폐기 과정이 복잡한 경우, 생분해 소재가 효율적일 수 있죠.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대체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야 해요.

환경을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것’입니다. 일회용컵을 생분해 컵으로 바꾸는 것보다, 아예 다회용 컵을 쓰는 게 더 큰 효과를 주거든요. 또 플라스틱을 버릴 때 제대로 분리배출해서 재활용 가능한 자원이 낭비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고요.

그리고 정책이나 시스템도 함께 가야 합니다. 생분해 플라스틱이 쓰인 제품엔 분명하게 표시를 하고, 소비자가 쉽게 구분해서 버릴 수 있게 하는 제도가 필요해요. 그게 없으면 소비자는 혼란만 더해지고,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든요.

결국 ‘생분해’라는 단어 하나에 안심하지 말고, 조금만 더 따져보고, 질문해보는 태도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착한 플라스틱이라는 말이 현실에서도 착한 결과를 만들어내려면, 그만큼 철저한 고민과 준비가 필요하다는 걸 잊지 않아야겠죠.